OpenStreetMap logo OpenStreetMap

OSM 위키문서에서 ‘길’ 갈래 가운데 주요길 갈래에는 motorway, trunk, primary, secondary, tertiary, unclassified, residential 같은 여러 값이 있습니다.(unclassified는 한국에는 해당하지 않음)
이 가운데 ‘motorway’는 ‘고속도로’, ‘trunk’는 ‘고속화도로’로 또렷하게 갈래지을 수 있겠습니다.(‘고속화도로’는 주요도로 가운데 계층적 성격에서는 살짤 벗어나기는 하지만 그 특성이 또렷하고 독립적이기에 계층적 갈래에 넣어도 문제가 없다고 봅니다.)
나머지는 우리나라 실정에서 갈래짓는 기준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볼 수 있어 꼭맞게 떨어지도록 갈래짓기는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한국의 실정에만 맞게 새로 키 값을 만들기도 그렇고, 이왕이면 있는 공통 키 값에 가장 비슷하게 맞물리게 하고자, 여러 길의 속성들을 살펴 볼까 합니다.

먼저, 우리나라 길[도로] 체계부터 알아야 할텐데, ‘관리 주체에 따라’, ‘기능에 따라’ 혹은 ‘사용형태나 규모에 따라, 여러가지로 나눌 수가 있습니다.
“도로법”에 따르면 관리 주체에 따르면,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노선은 공기업 한국도로공사가 국토교통부로부터 위탁받아 건설, 유지 및 관리를 하고 있는 ‘고속국도’(고속도로), 각 지방자치단체에 있는 지방국토관리청에서 관리하는 ‘일반 국도’, 특별시장·광역시장이 관리하는 ‘특별시도·광역시도’, 그 밖에 시장·도지사가 관리하는 ‘지방도’, 시장·군수·구청장이 관리하는 기타 군,시도 그리고 역시 시장·도지사가 관리하는 국가지원지방도(국지도)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크게는 ‘고속국도’, ‘일반 국도‘그리고 광역 지자체장이 관리하는 ‘특별시도·광역시도’와 ‘지방도’를 묶어서 ‘지방도’, 시장·군수·구청장이 관리하는 ‘시도·군도·구도’ 정도로 뭉뚱그려 나눌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 밖에도 차선 수나 넓이에 따라 나누기도 하고, 기능에 따라 ‘주도로’, ‘간선도로’, ‘집산도로’, 규모에 따라 ‘광로’, ‘대로’, ‘중로’, ‘소로’처럼 나누기도 하나 그 나눔이 그리 또렷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OSM의 계층적 분류에 따라 ‘고속국도’(고속도로)는 ‘highway=motorway’로, ‘일반 국도’는 ‘highway=primary’, ‘지방도’는 ‘highway=secondary’, 그 밖의 ‘시도·군도·구도’는 ‘highway=tertiary’로 나눌 수도 있을 것 같은데, 개념 상으로는 구분이 뚜렷하고 별 문제가 없으나, 일반 사람은 쉽게 알기 어려운 정보가 들어 있어, 이와 함께 좀더 알기 쉬운 기준과 함께 정리를 해 볼까 합니다.

먼저, 여러 분류 기준 가운데 가장 확실하고 ‘그나마’ 또렷한 기준은 ‘관리 주체’를 기준으로 한 분류겠으나 판단하기가 까다롭거나 어렵기 때문에,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작한 지도를 기본으로 하고 있는 국토부 ‘브이월드‘나 상업지도 가운데 일부는 색깔로서 비교적 또렷하게 구분을 해 주고 있어 참고를 하기가 좋습니다.

상업지도인 '다음지도'에서 국토부 지도인 '브이월드'에서 수원 시청 근방을 보기를 들어 보겠습니다.(‘수원수원수원’ 님 고맙습니다. ^^)
위 지도는 상업지도인 ‘다음지도’이고 아래는 국토부 지도인 ‘브이월드’입니다.(본디 지도의 색깔과 견줘 보시라고 선의 일부는 비워서 지도에서의 색깔이 보이도록 했습니다.)
이미지에서 붉은 선은 ‘경수대로’로 primary가 되겠습니다.
여기서 주의하셔야 할 것은, ‘~대로’, ‘~로’, ‘~길’을 규모에 따라 나눈 것이므로 반드시 이 구분과 똑같지는 않습니다. 쉽게 얘기해서 primary 가운데 ‘~대로’가 많기는 하지만 가끔은 ‘~대로’가 secondary가 되고 ‘~로’가 primary인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길 이름 등급에 따라 판단하시면 안 됩니다.
파란 선(바탕 색깔 때문에 자주색처럼 보입니다만…)은 secondary가 되겠습니다.
연두 선은 tertiary가 되겠습니다.(국토부 ‘브이월드’에서나 상업지도에서도 색깔은 없고 이름이 ‘~로’입니다.)
이미지에서는 연두색으로 표시했습니다만, 지도를 찾아 보시면 아시겠지만 secondary와 tertiary의 차이를 느끼기 어렵습니다. 이건 아무래도 관리주체에 따른 분류 쪽을 따라는 것 같습니다.(‘브이월드’나 ‘다음지도’에서 ‘~로’이면서 고유 색깔이 있으면 secondary, ‘~로’이면서 아무 색깔이 없으면 tertiary)
그 다음, 색깔이 없으면서 ‘~길’은 residential이 되는 것입니다.(적어도 주요도로 분류 가운데서는 ‘residential’이 된다는 뜻이지, 모든 ‘~길’이 residential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비주요도로는 계층적 구분이 아니므로 이름이 ‘~길’이라고 해서 반드시 residential이 아닐 수도 있으며, 특히 시골 지역에는 비주요도로로 임도나 농사길에도 ‘~길’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굳이 계층적 분류에 얽매이지 말고 track으로 지정해도 괜찮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시 한번 정리를 해 보겠습니다.(한국-남한-에만 해당됩니다.)

  • motorway : 고속국도(고속도로)
  • trunk : 고속화도로(도시고속도로 등)
  • primary : 일반 국도. 국토부 지도인 ‘브이월드’ 기준으로 연주홍선. 다음지도 기준으로 주황선.
  • secondary : (광역 지자체장이 관리하는 ‘특별시도·광역시도’와 ‘지방도’를 묶어서)지방도. 국토부 지도인 ‘브이월드’ 기준으로 연자주선. 다음지도 기준으로 연주황선.
  • tertiary : 시도·군도·구도. 국토부 ‘브이월드’에서나 상업지도에서 무색선 가운데 ‘~로’
  • unclassified : 한국에는 해당 없습니다.
  • residential : 주거지 안길이면서 무색선 가운데 ‘~길’.

본디 글은 ‘OSM에서 ‘길’(Key:highway) 가운데 ‘주요도로’ 갈래지어 보기 입니다. 본디 글이 나중에 더 다음어 졌을 수도 있습니다.

Discussion

Comment from user_hqst on 27 August 2023 at 10:33

단순히 일반국도, 지방도, 기타 도로를 primary, secondary, tertiary 등에 끼워 넣는 것은 문제가 있을 것이라고 본다. 국도나 지방도가 아닌 도로가 지역의 간선 도로인 경우를 흔히 찾을 수 있다. 수원시의 서부로나 덕영대로(세화로)는 그 자체로 간선 도로 역할을 하지만 덕영대로의 영통 인근을 제외하면 지방도로도 지정되어 있지 않으며 반대로 국도 59호선 부연동길은 그나마 국가에서 관리해서 포장은 되어 있지만 차량의 교행이 힘들 정도로 간선 도로라고 보기는 힘들다. 병행하는 도로의 예시로 인천의 국도 6호선 가남로와 인천대로, 제주도의 중산간도로(지방도 1136호선) 제주시내 구간과 연북로·애조로는 각각 전자보다는 후자가 간선 도로에 가깝다. 그러니 노선 지정으로 primary, secondary 등을 제약하는 것은 옳다고 볼 수 없을 것이다. 도로 노선 지정 상태를 알리는 건 노선 번호의 기능으로 넘기고, 도로 위계는 실제 도로의 상태에 따라 설정하는 것이 옳을 것 같다.

Log in to leave a comment